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설교/시편11

복 있는 사람 2015년 가을 바이블 아카데미 1 강 복 있는 사람 말씀 : 시편 1:1-6요절 : 시편 1:2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 우리는 한 번 뿐인 인생인데 행복한 삶을 살기 원합니다. 여러분들도 결국 행복하기 위해 대학에 들어오셨습니다. 대학 들어오려고 다들 10년이 넘게 고생했습니다. 그러니 이제 마음껏 행복을 누릴 자격이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 죄송하지만, 지금부터 행복 끝 고생시작입니다. 인생이 그렇게 만만치 않습니다. 우리 삶은 광야와 같습니다. 생존을 위한 힘겨운 싸움이 있는 곳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대학 생활은 참으로 중요합니다. 대학 시절 인생의 뿌리를 좋은 땅에 내리면 행복한 인생을 살수 있지만 뿌리를 엉뚱한 곳에 내리면 인생 망칩니다. 시편 1편은.. 2015. 12. 1.
감사로 제사를 드리는 자 감사로 제사를 드리는 자 말씀 : 시편 50편 요절 : 시편 50:23 "감사로 제사를 드리는 자가 나를 영화롭게 하나니 그의 행위를 옳게 하는 자에게 내가 하나님의 구원을 보이리라" 시편 50편은 아삽의 시입니다. 아삽은 다윗 시대에 헤만, 에단과 함께 성막 앞에서 찬송하는 일을 맡았던 찬양 인도자입니다. 어쩐지 저와 친근감이 드는 인물인 것 같습니다. 오늘 말씀은 하나님의 백성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님께 아삽이 받은 말씀을 전하는 시편입니다. 우리가 이 시편을 통해 감사의 예배와 선한 행실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자가 될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1절을 보십시오. "전능하신 이 여호와 하나님께서 말씀하사 해 돋는 데서부터 지는 데까지 세상을 부르셨도다" 해 돋는 곳은 동쪽입니다. 해 지는.. 2015. 10. 7.
복 있는 사람 2001년 새해에 전한 강해 설교입니다. 복 있는 사람 말씀 / 시편 1:1-6“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 자로다” 21세기의 첫 해가 지났습니다. 드디어 2001년 새해를 맞이했습니다. 우리 나라 사람들은 새해를 맞으면서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라고인사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이런 인사 받기를 참 좋아합니다. 인사하는 사람은 세뱃돈을 받아서 좋아합니다. 그러나 마냥 좋아할 일이 아닙니다. 무조건 복을 많이 받으라고만 하면 복이 굴러 들어옵니까? 어떻게 복을 많이 받으란 말입니까? 시편 1편은 우리에게 어떤 사람이 진정 복있는 사람이며 어떻게 복있는 사람이 될 수 있는지를 가르쳐 줍니다. 오늘 말씀을 통해 올 한해 진정으로 복있는 사람이 될 수 있는 비결을 발견.. 2015. 5. 2.
내가 부를 때에 응답하소서 내가 부를 때에 응답하소서 말씀 : 시편 4편 1절부터 8절요절 : 시편 4편 1절내 의의 하나님이여 내가 부를 때에 응답하소서 곤란 중에 나를 너그럽게 하셨사오니 내게 은혜를 베푸사 나의 기도를 들으소서 혹시 최근 열대야 현상으로 인해 잠 못 드는 밤을 보내신 적이 없으십니까? 열대야 현상이란 한 밤의 기온이 섭씨 25도씨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되면 잠을 설치게 됩니다. 25도만 되어도 잘만 하겠는데 요즘엔 30도가 넘는 기온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이런 밤에 에어컨도 없으면 지옥의 문이 열리는 셈입니다. 하지만 기온이 올라가서 잠을 못 자는 경우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마음에 열불이 나는 일이 있으면 역시 잠을 자기가 어렵습니다. 오늘 본문 말씀인 시편 4편.. 2015. 4. 30.
말씀을 열면 빛이 비치어 2015년 신년말씀 3 강 말씀을 열면 빛이 비치어 말씀 / 시편 119:129-136요절 / 시편 119:130“주의 말씀을 열면 빛이 비치어 우둔한 사람들을 깨닫게 하나이다” 2009년에 우리가 시편 119편 말씀을 총 아홉 번에 걸쳐 집중적으로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때 제가 지은 짤막한 표어가 하나 있습니다. 그 표어의 내용은 이렇습니다. “긴급할 땐 전화 119. 갈급할 땐 시편 119.” 왜 갈급할 때 시편 119편을 찾아야 할까요? 시편 119편은 우리 갈급함을 채울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해결책은 바로 말씀입니다. 119편에 등장하는 교훈, 증거, 법도, 율례, 계명, 판단, 말씀, 약속, 이 여덟 개의 단어들은 모두 말씀을 가리킵니다. 왜 이렇게 말씀을 다양한 모.. 2015. 4.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