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학/성경신학16

고대 앗수르 제국의 역사: 세계 최초의 제국에서 몰락까지 고대 앗수르 제국은 인류 역사상 최초로 메소포타미아, 레반트, 이집트 지역을 통일한 강력한 제국으로, 기원전 2450년부터 기원전 609년까지 약 1800년 동안 서아시아에서 정치적, 문화적 명맥을 유지했습니다. 초기 청동기 시대부터 후기 철기 시대에 이르기까지 앗수르는 끊임없는 군사적, 경제적, 정치적 혁신을 통해 강력한 제국으로 성장했지만, 결국 내외부적인 압력에 의해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앗수르의 흥망성쇠를 역사적 관점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앗수르의 기원과 초기 역사앗수르의 기원에 대해서는 많은 부분이 불명확하지만, 대체로 기원전 2500년경 북부 메소포타미아의 아수르라는 도시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도시는 남부 수메르 도시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2024. 10. 2.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이라"(1:1) 목차 I. 들어가며II. 마가복음 배경 연구a. 저자b. 기록시기c. 기록장소와 독자d. 기록한 목적과 배경e. 문예적 특징f. 다른 복음서와의 관계g. 추가된 종결의 문제III. 나가며 I. 들어가며 얼마 전 '1987'이라는 영화를 보았습니다. 1987년에 당시 저는 입시를 앞둔 고등학교 3학년이었습니다. 영화를 보며 그때 사건들에 대한 기억이 하나하나 다시 떠올랐습니다. 1987년 이후 우리나라는 크고 작은 부침이 많았지만 어찌되었든 민주국가를 향해 지금까지 발전해 왔습니다. 그 누가 이 흐름을 다시 되돌리려고 해도 그것은 불가능할 것입니다. 이미 87년에 일어난 일을 누구도 지워버릴 수는 없기 때.. 2018. 2. 7.
신약의 장르 복음서의 장르정경에 속하지 않은 복음서는 정경에 속한 사복음서와 장르가 다르다. 어떤 사람은 복음서를 영웅담, 비극, 비유, 미드라쉬, 드라마 등으로 보기도 한다. 복음서에 대한 가장 적절한 표현은 신학적 전기이다.해석을 위한 함축된 의미들전승 비평은 복음서 내에 아주 일부의 내용만이 역사적으로 실제 일어난 일이라는 인식을 널리 퍼뜨리게 하였다. 왜냐하면 사복음서는 서로 모순되는 구절들이 다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복음서 기사들은 망원경으로 보듯이 사건들을 압축해서 저자의 관점에 따라 신학적 연결한 것이기 때문에 모순이나 오류가 아니다.복음서를 서로 대조해 가면서 읽은 것은 수평적 읽기이며 하나의 복음서 내에서 기사의 의미를 밝혀 내는 것이 수직적인 읽기이다. 수평적 읽기는 유익하지만 수직적 읽기가 더.. 2016. 12. 18.
마가복음 2:1-12에 대한 석의의 예 마가복음 2:1-121단계: 본문 선정과 개인 번역[개역개정]1. 수 일 후에 예수께서 다시 가버나움에 들어가시니 집에 계시다는 소문이 들린지라2. 많은 사람이 모여서 문 앞까지도 들어설 자리가 없게 되었는데 예수께서 그들에게 도를 말씀하시더니3. 사람들이 한 중풍병자를 네 사람에게 메워 가지고 예수께로 올새4. 무리들 때문에 예수께 데려갈 수 없으므로 그 계신 곳의 지붕을 뜯어 구멍을 내고 중풍병자가 누운 상을 달아 내리니5. 예수께서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중풍병자에게 이르시되 작은 자야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하시니6. 어떤 서기관들이 거기 앉아서 마음에 생각하기를7. 이 사람이 어찌 이렇게 말하는가 신성 모독이로다 오직 하나님 한 분 외에는 누가 능히 죄를 사하겠느냐8. 그들이 속으로 이렇게 생각.. 2016. 12. 18.
성경의 산문에 관한 해석학적 일반 법칙 성경의 저자들은 독자에게 성경이 쉽게 이해되길 바라고 저술했다. 그러므로 성경은 언어 전달의 체계나 관례를 해석하여야 한다. 그러나 성경이 기록되었던 당시와 현재는 사뭇 거리가 있으므로 이 일이 쉽지만은 않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몇 가지 해석학적 제안들이 제시되었다.문학적 문맥해석의 기본은 해석이 문맥과 일치하는가 여부이다. 왜 문학적 문맥이 중요한가? 첫째로 문맥은 사고의 흐름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사고의 흐름은 자연스럽게 앞에 있는 사고로부터 이어져서 도출되어지기 마련이다. 문맥에서 본문을 분리시키는 것은 이런 자연스러운 사고의 흐름을 벗어가게 만들며 필경은 저자가 의도했던 의미에서 탈선하기 쉬울 것이기 때문이다.둘째로 문맥은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본래 단어는 여러 개의 의미를 .. 2016. 12. 18.
구약의 장르 성경은 읽는 사람에게 단순히 역사적 사실을 정확하게 전달하려는 목적으로 쓰여진 것이 아니라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삶에 대해 교훈하려는 목적으로 쓰여졌다. 그 목적에 이르기 위한 수단이 바로 문학적 양식과 장르들이다.내러티브들내러티브는 성경의 문학 양식 중 가장 일반적인 양식이며 그 종류는 다양하다.구약 내러티브들기사는 가장 간결하고 단순한 내러티브로서 사건이나 상황에 대한 제 3 자의 보고를 기록한다. 기사에는 한 사람의 생애 속 사건을 기술하는 일화, 전쟁과 그 결과를 서술하는 전투 기사, 성전과 같은 중요한 건물의 건축 과정을 다룬 건축 기사, 특별한 꿈의 경험을 기록한 꿈 기사, 하나님이나 천사의 나타남을 기록한 현현 기사, 기사와 유사하지만 더욱 정교하게 쓰여진 역사적 이야.. 2016. 1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