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학/조직신학22

유아 세례의 근거와 우리의 책임 유아 세례의 근거와 우리의 책임 (아래의 글은 유아 세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칼빈의 기독교 강요와 하이델베르크 요리 문답, 합신 이승구 교수님의 소논문을 근거로 작성되었습니다.) 하이델베르크 요리 문답 제 74문답 (문) 유아들도 세례를 받아야만 합니까?(답) 그렇다. 그들의 부모들만이 아니라, 어린 아이들도 하나님의 언약 안에 있고 하나님의 백성이다.어린 아이들도 어른에 못지 않게 그리스도의 피와 신앙을 생성시키는 성령을 통해서 죄 용서함을 받도록 약속되었다.그러므로 그 언약의 표인 세례로써 어린 아이들도 그리스도의 교회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불신자들의 자녀들과 구별되어야 한다. 이것이 구약 시대에는 할례로써 이루어졌지만, 신약에서는 세례로 대체되었다. 성경에 따르면 우리는 참된 신앙을 가지고 있.. 2015. 6. 18.
조직신학 서론 요약 조직신학 서론 요약하나의 체계로서 교의신학신학자들은 기독교 신앙의 진리 내용의 요약을 표현하기 위해 여러 용어를 사용해 왔다. 멜란히톤은 어떤 주제에 대한 성경적인 진술의 근거라는 의미에서 ‘공통 위치’라는 말을 썼다. 그보다 앞선 세대에서는 피터 롬바르도의 ‘명제들’이란 저술을 통해 유사한 시도가 있었다. 후대 신학자들은 ‘테올로기아’ 즉 신학이란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교의학은 테올로기아 중에서 성경에서 올바르게 제시된 진리들을 연구하는 학문이다.교회의 교의는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근거를 갖는다. 개혁교의학은 성경 안에 하나님의 권위로 주어진 진리 외에 다른 진리를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그리스도교의 교의는 그리스도의 교회에 의해 인정되고 합의된 교의이다. 교회는 교의를 보존하고 방어하며 고백하도.. 2015. 6. 18.
에드워즈의 신앙감정론 요약 에드워즈의 신앙감정론 요약 제 1부 감정의 본질과 신앙에 있어서 감정의 중요성 1. 감정이란 무엇인가 에드워즈는 감정이 한 인간의 영혼을 구성하고 있는 의지와 성향을 가진 더 활기차고 감지할 수 있는 활동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 기능은 2가지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하나는 영혼이 바라보는 사물을 인정하고 기쁘고 애착을 가지게 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면 다른 하나는 정반대로 싫어하고 거절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감정과 격정을 종종 같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자세히 파고들면 차이가 있다. 일반적인 의미로 ‘감정’이라는 말은 ‘격정’이라는 말보다 더 포괄적이다. 감정은 의지와 성향이 모두 왕성하고 생생하게 활동하는 것에 사용한다. 그러나 격정은 본능에 미치는 효과가 더 갑작스럽고 격렬하며 충동적인 .. 2015. 6. 16.
조직신학 신론 요약 1부: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1장 하나님의 위대하심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가?’에 대해 아는 것은 다른 모든 교리의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한다. 그러나 하나님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제이다. 왜냐하면 첫째로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하나님께 대해 가지고 있는 오해나 선입관 때문이며 둘째로 성경에 나타내신 하나님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논쟁적 주제들 때문이다. 우리는 하나님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피해야 할 두 가지 실수는 지나치게 사색적으로 접근하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모호하게 정의하려는 태도이다. 1. 속성의 성격 하나님의 존재를 구성하고 있는 하나님의 본질을 하나님의 속성이란 부른다. 각 속성들은 전 인격적이며 항속적이며 하나님의 존재나 본질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우리가 하나님.. 2015. 6. 16.
삼위일체론 오늘날 한국교회가 가르치는 교리 가운데 성도들을 가장 당혹케 하는 교리 중 하나가 삼위일체론이다. 세 분 하나님이 한 분이 되고 한 분 하나님이 세 분이 되는, 이 이상한 교리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다가 많은 사람들은 포기를 하고, 또 일부 사람들은 세분 하나님을 하나님의 세가지 존재양태론 곧 양태론적인 방식으로 이해하고 있다. 삼위일체이신 하나님의 존재는 이해가 되지 않고 납득이 되지 않는 어떤 신비일까? 삼위일체이신 하나님이란 도대체 어떠하신 하나님을 의미하는 것일까? 하나님은 삼위이시다하나님의 삼위 되심을 이해할 때 첫째로 중요한 것은 삼위라는 말의 뜻이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삼위라는 말은 하나님이 세 분이라는 말이다. 한.. 2015. 6. 13.
하나님은 몇 분인가 [펌글...그런데 출처를 잘 모르겠네요..ㅠㅠ] 하나님은 몇 분인가 삼위일체론은 기독교 신앙의 중심적 교리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혼란되고 불일치되는 교리이다. 과연 기독교는 몇 분의 하나님을 믿고 사랑하는가?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해 보면, 대개 하나님이 한 분이라는 의견과 세 분이라는 의견이 반반으로 나누어지는 통탄스러운 현실을 발견하게 된다. 한국교회에는 전통적으로 하나님이 한 분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었으나, 1980년대 이후 하나님이 세 분이라는 주장이 신학자들에 의해 계속 제기되고 있다. 총신대의 차영배교수가 에서 “신은 분명히 세 분”이라고 주장하였으며, 장신대의 김명용교수도 에 기고한 논문에서 “하나님은 세 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물론, 이런 주장들은 삼신론 三神論이라는 거센 .. 2015. 6.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