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목양/목회 현장35

회심에 관하여 1. 회심은 무엇보다 감정과 정서의 변화이다. 2. 감정과 정서의 변화가 생기지 않았다면 아직 회심에 이른 것이 아니다. 생각만 달라졌다면 아직은 부족한 회개이다. 3. 감정과 정서의 변화란 단순하게 말해서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이 달라진다는 말이다. 4. 회심하면 죄 짓는 것을 미워한다. 죄를 지은 것에 대해 슬퍼한다. 5. 회심하면 하나님관의 만남을 사모한다. 예배가 즐겁다. 기도가 꿀맛이다. 6. 회심의 결과로 생긴 감정과 정서는 적극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그리고 표현할 수 밖에 없다. 7. 회심 후의 감정과 정서를 내가 아직 경험하지 못했다고 해서 그런 것은 없다고 단정지어서는 안 된다. 또는 다른 이유로 설명하려 해서도 안 된다. 많은 사람들의 오해와 착각은 내가 경험해 보지 못한 것을 아예.. 2019. 3. 1.
권징에 관하여 1. 현대 교회에서 권징이 사실 상 사라지고 있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 때문이다. 첫째는 출석 교회를 쉽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권징을 받으면 회개할 필요 없이 다른 교회로 가면 그만이다. 둘째는 익명성 속에 숨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대형 교회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진다. 교인의 삶을 알 수 없기 때문에 권징도 불가능하다. 2. 권징은 단계가 있다. 개인적으로 일대일로 권면하기, 몇 사람이 함께 권면하기, 공식적으로 보고하여 징계를 결정하기, 마지막으로 출교이다. 언제든지 회개하고 돌이키면 권징의 단계는 거기에서 멈춘다. 3. 공적으로 징계를 받은 교인이 돌이키면 공적으로 징계를 해제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4. 권징은 신자가 말씀대로 살아가도록 돕기 위한 방편이다. 5. 권징은 성령의.. 2019. 3. 1.
성찬식에 관하여 1. 성찬식은 보이는 말씀이다. 그러므로 시각적인 디자인에 매우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2. 떡을 미리 잘라 놓아서는 안 된다. 떡은 회중들이 보는 앞에서 찢어서 나누어야 한다. 왜냐하면 예수께서 자기 몸을 우리 위해 찢기셨기 때문이다. 3. 떡은 여러 개를 준비하지 말고 가급적 하나의 떡으로 하는 편이 좋다. 하나의 떡을 나눈 공동체라는 의미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4. 떡과 포도주를 충분히 음미할 시간이 주어져야 한다. 다음 차례 때문에 쫓기듯이 먹고 마시지 않도록 해야 한다. 5. 일년에 4번은 최소이고 차츰 차츰 성찬식의 횟수를 늘려나갈 필요가 있다. 6. 성찬식은 나의 죄에 대한 슬픔으로 시작해서 죄사함의 은혜로 생긴 기쁨과 감사함으로 끝나야 한다. 7. 굳이 성찬식을 위해 집례자가 가운을 입을 .. 2019. 3. 1.
2018년 자작 포스터 모음 2019. 2. 21.
2월 행사를 위한 자작 포스터 2019. 2. 21.
조나단 에드워즈의 결심문 아래는 조나단 에드워드가 20살이 되던 해에 만든 70개조의 결심문입니다.우리 청년들에게 자기 삶을 돌아볼 수 있는 도구로 좋은 지침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1.나의 전생애 동안 하나님의 영광과 나 자신의 행복과 유익과 기쁨에 최상의 도움이 되는 것이면 무엇이든지 하자. 지금 당장이든지 아니면 지금부터 수많은 세월이 지나가든지 간에 시간은 전혀 고려하지 말자.내가 해야 할 의무와 인류 전체의 행복과 유익에 최상의 도움이 되는 것이면 무엇이든지 하자. 내가 부딪히게 될 어려움이 무엇이든지 간에 또한 그 어려움이 아무리 많고 크다 할지라도 그렇게 하자. 2.전에서 언급한 사항을 잘 지키기 위해 도움을 주는 어떤 새로운 수단이 나 방법을 찾기 위해 계속적으로 노력하자. 3.혹시라도 내가 넘어져 점점 무감각해져서.. 2018. 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