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목계지덕(木鷄之德)의 지혜
고대 중국의 명저로 꼽히는 「장자」의 ‘달생(達生)’ 편을 보면 ‘목계지덕(木鷄之德)’이란 고사성어가 나옵니다. 옛날 중국의 어느 왕이 투계(鬪鷄: 닭싸움)를 몹시 좋아해서 뛰어난 싸움닭을 갖고 기성자란 당시 최고의 투계 사육사를 찾아가 그 닭을 최고의 투계로 만들어 달라고 부탁했다고 합니다. 열흘이 지난 뒤 왕이 기성자에게 이렇게 물었습니다. “닭이 충분히 싸울 만한가?” 기성자가 대답했습니다. “아닙니다. 아직 멀었습니다. 닭이 강하긴 하나 교만해서 아직 자신이 최고인 줄 알고 있습니다. 그 교만을 떨치지 않는 한 최고의 투계라 할 수 없습니다.” 열흘 뒤 왕이 또 묻자 기성자는 다시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아직 멀었습니다. 교만함은 버렸지만 상대방의 소리와 그림자에도 너무 쉽게 반응합니다. 태산처럼 움직이지 않는 진중함이 있어야 최고라 할 수 있습니다.” 열흘이 지난 뒤 왕이 다시 묻자 그는 또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아직 멀었습니다. 조급함은 버렸으나 상대방을 노려보는 눈초리가 너무 공격적입니다. 그 공격적인 눈초리를 버려야 합니다.” 또 열흘이 지난 뒤 왕이 묻자 그제야 기성자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이제 된 것 같습니다. 상대방이 소리를 질러도 아무 반응을 보이지 않고 완전히 마음의 평정을 찾았습니다. 나무와 같은 목계(木鷄)가 되었습니다. 닭의 덕이 완전해졌기에 이제 다른 닭들은 그 모습만 봐도 도망갈 것입니다.”
반응형
'목양 > 예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상 판별법 How to Identify Your Idols (0) | 2019.02.22 |
---|---|
마더 데레사의 anyway (0) | 2019.02.22 |
문재인 대통령의 국가조찬기도회의 축사 (0) | 2018.03.08 |
교회 안의 해로운 습관 10가지 (1) | 2018.03.03 |
3만명의 목숨을 구한 외교관 소사 멘데스 (0) | 2017.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