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실천신학

예배의 성경적 관점에 따른 한국 교회 예배의 문제점과 예배 갱신

이창무 2015. 6. 16. 21:10
반응형

예배의 성경적 관점에 따른 한국 교회 예배의 문제점과 예배 갱신

I. 들어가는 글

전통 예배, 열린 예배, 이머징(Emerging) 예배 등 한국 교회는 예배 갱신에 대한 실험과 도전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예배의 성경적 관점에 따라 예배 갱신의 원리와 실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II. 펴는 글

1. 한국 교회 예배의 문제점

한국 교회에서 예배 이해의 문제는 공예배만을 중요시하고 삶의 예배를 도외시한다는 점이다. 그 원인은 예배신학적 토대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1) 예배 시 설교의 역할

한국 교회의 예배에서는 다른 예배 요소들을 고려하지 않은 채 오직 설교만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 그 결과 예전이 무시되고 예배 구성 요소 중에 오직 청각만이 부각되고 말았다. 이는 선교 초창기 선교 설교에 중점을 두었던 경향이 현재까지 이어져 고착된 결과이다. 현재 한국 교회의 예배는 예배 요소 간의 균형 회복이 필요하다.

2) 예배에서의 성례전 소홀

설교의 과대 평가와 함께 주의 만찬을 소홀히 함으로써 공예배를 성례전 없이 진행하는 문제, 주의 만찬 때에 다시 설교를 하는 문제, 세례 교육의 부재 및 형식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3) 예배에서의 목사 우위

한국 교회의 예배에서는 예배 참석자들이 직접적으로 예배 구성에 참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목사가 시종일관 예배를 단독으로 인도하곤 한다. 그 결과 목사가 사제로 오인되고, 예배자는 관객이나 청중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4) 예배력 또는 교회력에 대한 이해 부족

한국 교회는 대개 교회력에 따라 설교 본문을 선택하지 않고 설교자가 임의대로 선택하기 때문에 설교자 중심의 설교가 되기 쉽다. 또 설교 뿐 아니라 가운이나 장식도 교회력에 따라 달라질 필요가 있다.

5) 예배 장소로서의 교회 건물 및 기물

한국 교회의 예배당 구성은 모든 것에 설교단에 집중되어 있다. 설교단 외에 있어야 할 성찬상, 독서대, 세례반 등의 부재하는 경우도 많다.

6) 요약

한국 교회 예배의 문제는 설교에 대한 지나친 강조, 성례전을 소홀히 여김, 교회력과 예배 공간에 대한 신학 부재 등의 문제라고 요약할 수 있다.

2. 성경적 관점에 따른 예배 갱신을 위한 제언

1) 그리스도와의 관계성에 따른 행동 방향

(1) 설교 : ① 선교 지향적 설교 형태를 탈피하여 공동체 설교를 시행해야 한다. ② 설교를 준비할 시간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며 교회력에 따라 설교 본문을 정해야 한다. ③ 설교 분석은 설교 위기 극복의 대안이 될 수 있다.

(2) 성경 봉독 : ① 성경 봉독은 예배 순서 중 일부로서 교독문이나 설교 본문 낭독 외에 두 세 번의 봉독 시간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② 한 해의 순환은 성경 봉독을 바탕으로 한 성서일과로 이루어져야 한다. ③ 성경 봉독의 직무는 훈련된 회중에게 맡겨야 한다.

(3) 세례 : ① 장시간의 세례 준비 시간에 걸쳐 세례자 교육을 실질적으로 해야 한다. ② 세례자가 세례 받을 때 회중 앞에 간증하도록 하는 것도 좋다. ③ 세례반을 예배 장소에 설치해야 한다.

(4) 주의 만찬 : ① 주의 만찬과 설교가 긴밀하게 관련을 맺어야 한다. ② 주의 만찬에 대한 교육과 설교가 병행되어야 한다. ③ 매주 주의 만찬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④ 수여자는 성찬상 앞에 나와서 받도록 하는 것이 좋다. ⑤ 주일 학교 청소년들도 주의 만찬에 빠지지 않도록 배려해야 한다. ⑥ 공동체성을 위해 성찬 잔은 개별 잔보다 공동 잔 사용을 추천한다.

(5) 구성 : ① 청각적 요소 외에 다른 감각적인 요소들도 골고루 배치하도록 한다. ② 설교와 찬송이 서로 일치하도록 해야 한다. ③ 춤을 비롯한 동작이 포함된 예배 행위를 이끌어 낼 필요가 있다. ④ 선포적 의미를 담은 연극도 가치가 있다.

(6) 참여 : ① 회중이 적극적으로 예배에 참여할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② 설교와 예배 대화를 시도해 볼 가치가 있다. ③ 미학적 예술적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예배 공간 구성에 참여할 수 있다.

2) 예배의 이해성과 공동의 섬김성에 따른 행동 방향

(1) 내용과 형식 차원 : ① 예배에 있어서 언어적 상징적 이해성을 고려하고 더 폭 넓은 의사 소통 영역을 확보하도록 해야 한다. ② 상징에 대한 이해가 예배의 이해성을 높이므로 이를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 ③ 설교와 예배 대화를 통해 설교자는 회중의 상황을 경험할 수 있다. ④ 신앙의 예술적 상징적인 표현이 창출되도록 내부 공간을 꾸미는 것이 좋다. ⑤ 감각과 표현을 이끌어 내도록 예배에 적합한 사물의 적절한 배치가 필요하다.

(2) 회중의 참여 : ① 회중이 예배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그 이전에 먼저 예배 교육이 필요하다. ② 예배의 공동체성을 회복하기 위해 모든 회중이 다 참여하는 예배가 필요하다.

3) 예배와 삶과의 관계성에 따른 행동 방향

(1) 삶과 관련된 예배 요소 : ① 예배 중에 설교와 기도는 신자의 삶 전 영역과 관련을 맺고 있어야 한다. ② 광고는 교인들에게 삶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전달해 준다.

(2) 통과 의례 : ① 통과 의례는 불신자를 예배로 인도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② 견신례를 실제적인 의미를 가진 축제로 드려지도록 하기를 제안한다. ③ 삶의 변화가 있는 시점에 드리는 다양한 예배들이 있다.

(3) 삶의 전 영역에 걸친 예배 : ① 예배와 삶과의 관련성이 회중에게 지속적으로 머무르도록 해야 한다. ② 예배 순서 내에서 헌금 시간을 두어 예식의 일부로 의미를 갖도록 해야 한다.

III. 교회 개혁의 일부분으로서 예배 갱신

한국 교회 개혁을 위한 예배 갱신의 방향은 첫째로 설교를 통해 신자가 삶의 정체성을 얻도록 해야 하며, 둘째로 역동적인 예배를 구성하여 회중들이 전 감각과 표현 능력을 동원하여 예배에 참여하도록 해야 하며, 셋째로 세례 예식에서 그리스도와의 관계성을 맺을 수 있도록 교회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반응형